함수란 ? 재사용 되는 코드 블럭이다.
코드를 작성함에 있어 반복되거나 다시 써야하는 코드를 함수()로써 정의하여
편의성을 높힌다.
len() , type() 등등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함수들을 통해 편리하게 코드를
작성하여 이용을 하였고, 우리 또한 이러한 함수를 정의하여 누군가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위 사진을 한번 봅시다.
위 사진은 사용자가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 입니다.
def 키워드는 함수를 정의하겠다! 라는 뜻입니다.
name 부분에는 함수의 이름을 fahr_to_kelvin 으로 지정하겠다 는 뜻 입니다.
parameter 부분은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값을 받아오겠다 는 뜻 입니다.
return 은 함수 내부에서 어떠한 처리 값을 돌려준다 는 뜻 입니다.
* def , name 은 함수에서 필수이나 , parameter 와 return 은 함수를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자 그러면 위에 코드를 보고 함수를 실행시켜 봅시다.
함수의 실행은 함수를 호출한다고 합니다.
fahr_to_kelvin()에 paramter 값을 50을 넣어 호출해봅시다.
먼저 temp 값에는 50이 저장되게 됩니다.
그리고 return 을 통해 값을 되돌려 줄건데
(temp - 32) * (5/9) + 273.15 를 실행한 값을 돌려줄겁니다.
이 돌려주는 값을 변수에 저장하면 변수값이 될테고
변수없이 호출하면 결과값이 출력이 될 겁니다.
이번에는 def, name 을 이용한 인자가 없는 함수를 호출해봅시다.
def 는 함수를 정의하겠다는 뜻의 키워드 입니다.
print_user() 라는 이름으로 함수를 정의할 겁니다.
이번에는 parameter, return은 없고 print()함수를 통해 hello,bye를 출력 하는
함수를 정의했습니다.
이를 호출하게 되면
이런식으로 hello 와 bye가 출력되게 됩니다.
이번에는 parameter 값이 여러개 들어오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 봅시다.
어떤 숫자와, 제곱횟수를 입력받으면, 그 숫자의 몇제곱해서 알려주는 함수를 정의해봅시다.
def 키워드는 함수를 정의하겠다는 뜻입니다.
pow_times 라는 이름의 함수로 정의할 것이며
parameter 값으로는 number, count 2개를 받을 것 입니다.
return을 통해 값을 돌려줄건데, number ** count값을 돌려 줄 것 입니다.
pow_times(2,4)로 실행을 해봅시다.
이런식으로 2의 4제곱인 16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return 값이 여러개인 경우를 알아봅시다.
숫자 2개를 입력받아 그 숫자들로 나누어 몫, 나머지를 돌려주는 함수를 만들어봅시다.
다음과 같이 my_func 함수를 정의했습니다.
parameter 값으로 5, 2 를 넣어 실행해봅시다.
다음과 같이 몫은 2, 나머지는 1로 출력이 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즉 return 값이 2개이면 2개다 돌려주게 됩니다.
'개발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메모리 (0) | 2022.11.22 |
---|---|
파이썬. library란? random, datetime,time,parse 등등 (0) | 2022.11.22 |
파이썬 기초. 반복문 (while) , 중첩된 반복문 (0) | 2022.11.18 |
파이썬 기초. 반복문(for) range , break, continue (0) | 2022.11.18 |
파이썬 기초. if 와 elif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