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트에서 list에 대해 공부 했습니다.
이번에는 dictionary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dict는 2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ey 와 value 로 이 둘이서 하나의 쌍을 이룹니다.
생성방법은 {} 대괄호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위 사진처럼 my_phone 이라는 dict형 변수는
brand -> apple
model -> iphone x
year -> 2018
로 앞부분이 key 뒷부분이 valu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key값을 접근하여 value값을 나타냅니다. 왼쪽은 엑세스, 오른쪽은 함수 get()을
이용한 방법 입니다.
dict의 value 값을 바꾸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위 와 같이 my_phone dict가 있고 여기서 model 부분에 iphone x 를 바꿀려면
my_phone['키값'] = '바꿀자료' 이런식으로 key를 통해 value 로 접근해야합니다.
dict에 값을 추가할때에는 새로운 key와 value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dict에 데이터 삭제는 del 키워드를 이용합니다.
또한 key값만, value값만 가져오기 위해서는 각각 keys(), values() 함수를 통해 가져오는게 가능하며
쌍으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items()를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dict에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inventory 라는 명으로 dict를 만들었습니다.
key 값으론 '메로나' , '비비빅', '죠스바'가 들어있으며
value 값으론 [300,20] , [400,3], [250.100] 인 리스트가 들어있습니다.
(*즉 value값으로 list가 들어와도 상관없다는 뜻입니다.)
자 여기서 메로나의 value값 중 20을 접근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앞서 우리는 value 값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key값을 이용한다고 배웠습니다.
따라서 일단은 value 값에 접근을 해야합니다.
위 사진처럼 일단 접근을 해야합니다. 그런데 접근하고 보니 출력값이 list인걸 알 수있습니다.
그렇다면 list인 inventory['메로나']에서 20을 접근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리스트 와 마찬가지로 []을 이용해 접근하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먼저 key값에 접근하고 그다음에 한번더 value값에 접근해야 합니다.
'개발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비교연산, 조건문(if) (0) | 2022.11.17 |
---|---|
파이썬 기초. Tuple과 Set (0) | 2022.11.16 |
파이썬 기초. list 연산, in으로 값 확인하기, 정렬함수 (sort,sorted) (0) | 2022.11.16 |
파이썬 기초. list 생성,엑세스,추가,변경,수정,삭제 (0) | 2022.11.15 |
파이썬 기초. 대소문자(upper,lower), 문자열 분리(split),슬라이싱 등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