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5

파이썬 기초. list 연산, in으로 값 확인하기, 정렬함수 (sort,sorted)

과일이라는 빈 리스트에 데이터를 추가해보자. 그리고 others 에는 값이 존재하는 리스트를 만들어보자 fruits 에는 사과,배 others 에는 망고,코코넛,오렌지,레몬이 있다. 이 리스트들은 연산자를 이용해 하나처럼 이용 할 수 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연산자 +을 이용해 fruits와 ohers 둘다 출력된걸 볼 수 있다. 지금이야 이렇게 리스트값이 몇개 되지 않으니 눈으로 찾을 수 있다지만 이 리스트가 만약 몇만개 이상에 데이터가 있고 그 데이터 중 내가 원하는 값을 찾기란 상당히 힘들다. 그래서 내가 원하는 값을 찾을려면 몇가지 과정을 거쳐 찾을 수 있다. 첫번째로는 리스트에 내가 원하는 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위 사진처럼 바나나는 리스트에 없어 False , 코코넛은 있기때문에 ..

개발/파이썬 2022.11.16

파이썬 기초. list 생성,엑세스,추가,변경,수정,삭제

지금까지는 변수 1개에 데이터 1개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데이터들은 방대한 양을 가지고 있고 이를 하나하나 변수를 지정하는건 너무나도 비효율 적입니다. 따라서 변수 1개에 데이터를 여러개를 집어 넣을 수 있도록 list 를 이용합니다. List 만들기 위에 사진처럼 리스트는 []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엑세스 []와 혼동 주의 데이터 종류의 상관없이 넣을 수 있습니다. List 접근 방법 List 또한 변수이기에 접근은 [] 을 통해 가능합니다. 위 사진과 같이 week[1] 은 week list에 2번째 값인 'Tue'를 나타내게 됩니다. 5번째 줄 처럼 'Mon'에 'n'을 접근하고 싶을때는 먼저 week[0]을 통해 'Mon'에 접근하고 그뒤에 한번더 []을 통해 ..

개발/파이썬 2022.11.15

파이썬 기초. 대소문자(upper,lower), 문자열 분리(split),슬라이싱 등

문자열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봅시다. 위 사진과 같이 파이썬에서 긴 문장(첫줄을 넘어가는)을 이용하기 위해선 ''' 또는 """ 을 이용한다. 문자와 문자를 이어 붙히는 방법은 연산자 + 을 이용한다. 공백 또한 ' ' 을 통해 삽입이 가능하다. 문자의 대소문자를 변환시키는 방법은 함수 lower(),upper()를 이용한다. 위 방식처럼 문자형변수 뒤에 .을 붙혀 사용한다. 맨앞글자만 바꾸는 capitalize(), 단어의 앞글자를 바꾸는 title()도 있다. 원하는 문자열을 분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런식으로 split()을 이용하여 분리 할 수 있다. 한부분만을 추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변수뒤에 [] 을 붙히는데 이는 변수에 접근한다. 위 사진처럼 letters 변수의 3번째인 'c'에..

개발/파이썬 2022.11.15

파이썬 기초. print() , input() , 형변환

프로그래밍에서 입·출력은 가장 기본이 됩니다. 내가 명령을 넣으면 컴퓨터는 수행하여 결과를 보여줘야 우리가 원하는 바를 이루겠죠? print() 컴퓨터가 우리에게 출력하여 결과를 알려줍니다. 위 사진처럼 변수에다가 문자열을 저장하여 print()함수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위에 2번째 줄 처럼 쥬피터노트북은 변수를 입력할 경우 그 결과 값이 나오게 되는데 이는 메모리상에서 그 변수가 어떤값인지를 불러온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input() 이번에는 반대로 우리가 컴퓨터에게 값을 알려줍니다. 위 사진처럼 input()를 이용하면 입력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첫번째 줄 처럼 혼자 쓰이면 이 값이 어딘가에 활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변수에 저장을 하여 언제든지 이 변수를 이용하여 데..

개발/파이썬 2022.11.15

파이썬 기초. 변수와 연산

변수 파이썬은 크게 3가지 데이터를 인식합니다. 여기서 데이터란 우리가 인식하는 숫자,문자와 같은 모든 것을 지칭. 첫번째. 문자 (str) - ex)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두번째. 정수 (int) - ex) 1,2,3,4,5···· 세번째. 실수 (float) - ex) 4.0, 5.2, 3.141592····· 위 사진처럼 변수명 = 데이터값 으로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을 하게 됩니다. 혹여나 내가 쓴 코드가 어떤 데이터값인지 모를때는 tpye 함수를 이용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type()안에 변수 혹은 데이터를 넣으면 그 데이터가 무슨 값인지를 알려주게 됩니다. 연산자 파이썬은 통해 어떠한 값을 만들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연산자라는 것을 이용합니다. 다음과 같은 연산자들이 있습니..

개발/파이썬 2022.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