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5

파이썬. Numpy - 기본개념, 벡터와 행렬

Numpy 는 다차원 배열을 쉽게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라이브러리입니다. 위 사진의 구조로 데이터를 만들고 처리 할 수 있습니다. 1D array는 1차원 배열을 의미하며 백터라고도 불립니다. 2D array는 2차원 배열을 의미하며 행렬이라고 불립니다. 3D array 는 3차원 배열을 의미합니다. a 라는 변수에 list 로 저장을 하였습니다. 이 list 안에 값들의 평균은 sum(a)/len(a)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만 이 list 안에 값들의 표준편차같은 어려운 수식이 필요한 내용은 굉장히 구하기 어렵습니다. 이 같은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Numpy 를 통해 쉽게 구해봅시다. x = np.array(a)입니다. 여기서 np는 import numpy as np 를 통해 numpy..

개발/파이썬 2022.11.22

파이썬. 메모리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습니다. result = 100 의 값을 메모리 영역에 저장을 했습니다. def n_plus_1 은 코드영역에 저장됩니다. 함수를 호출하게되면 스택영역에 n의 값과 , result의 값이 저장됩니다. 아무런 변수에 저장하지 않고 호출만하였기 때문에 스택영역에서 사라지게 되고 메모리 영역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print (result) 는 100을 실행합니다.

개발/파이썬 2022.11.22

파이썬. library란? random, datetime,time,parse 등등

파이썬은 len(),sum(),type()등등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함수가 있습니다. 사용자가 임의로 def 키워드를 통해 만들어 놓은 함수도 있습니다. 그럼 기본 제공이 아닌 누군가가 만들어놓은 파이썬의 기본 함수가 아닌 함수들을 모아 놓은 것을 라이브러리 라고 합니다. 라이브러리에 있는 함수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 import ' 라는 키워드와 함께 사용합니다. 위 사진처럼 import 를 통해 random 라이브러리를 가져왔습니다. 사용법은 random. 을 이용하여 random 에 다양한 함수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int형을 무작위로 내놓는 randint 와 float형을 내놓는 uniform 등등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random 라이브러리를 조금만 더 알아보면 seed()..

개발/파이썬 2022.11.22

파이썬 기초. 함수()

함수란 ? 재사용 되는 코드 블럭이다. 코드를 작성함에 있어 반복되거나 다시 써야하는 코드를 함수()로써 정의하여 편의성을 높힌다. len() , type() 등등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함수들을 통해 편리하게 코드를 작성하여 이용을 하였고, 우리 또한 이러한 함수를 정의하여 누군가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위 사진을 한번 봅시다. 위 사진은 사용자가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 입니다. def 키워드는 함수를 정의하겠다! 라는 뜻입니다. name 부분에는 함수의 이름을 fahr_to_kelvin 으로 지정하겠다 는 뜻 입니다. parameter 부분은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값을 받아오겠다 는 뜻 입니다. return 은 함수 내부에서 어떠한 처리 값을 돌려준다 는 뜻 입니다. * def , ..

개발/파이썬 2022.11.21

파이썬 기초. 반복문(for) range , break, continue

앞선 포스트에서 조건문을 배웠습니다. 반목문이란? 말그대로 특정작업을 반복하게 해주는 문법입니다. For 반복문 for문은 특정 조건이 만족될때까지 반복으로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print()함수를 이용해서 1부터~10까지 숫자를 출력할려고 합니다.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방법으로는 이런식으로 출력을 하게 될 겁니다. print() 부분은 그대로인데 안에 값만 바뀌면서 출력을 하고 있죠? 이 값이 지금은 10개지만 만약 1~ 1000,1~10000까지 굉장히 많은 수를 출력하려고 하면 굉장히 긴 시간이 걸립니다. 이런 작업을 간단히 컴퓨터에게 명령을 하기 위해 for문을 쓰게 됩니다.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for 로 시작하게 됩니다. number 는 변수입니다. range()는 지금은 그저 1부..

개발/파이썬 2022.11.18

파이썬 기초. if 와 elif

조건문 if 에 대해 조금 더 알아봅시다. 우리가 주어진 문제에 조건이 하나인 경우도 있지만, 여러개인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 사과의 갯수를 확인해서, # 사과가 10개이상이면, '구매할 필요가 없습니다. 여유 있습니다.' # 사과가 5개 이상이면, '적정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사과가 2개 이상이면, '사과를 구매할 타이밍입니다.' # 그렇지 않으면, '사과가 거의 없습니다.' # 출력하세요. 위와 같은 상황을 배운 것만을 이용해 풀어봅시다. 위 처럼 코드를 작성하셨을 겁니다. 여기서 내가 원하는 부분 뿐만 아니라 원하지 않는 부분도 실행이 된걸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if문들이 돌아갔기 때문이죠. 내가 원하는 부분만 보이기 위해선 조건문들간에 서로 종속이 필요합니다...

개발/파이썬 2022.11.17

파이썬 기초. 비교연산, 조건문(if)

이번 포스트는 비교 연산과 if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먼저 비교 연산자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 처럼 연산자 기호를 통해 X, Y값을 비교하는 연산으로 결과값은 진실을 의미하는 True(=1) 와 거짓을 의미하는 False(=0)로 나옵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 7>3 이 있습니다. 이는 올바른 부등호가 성립합니다. (진실) 따라서 이를 파이썬에 입력해보면 True값이 나오게 됩니다. 반대로 7= 6 은 8>=6 -> True len(password) 2 는 True 값이기 때문에 print()이 출력된 걸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5

개발/파이썬 2022.11.17

파이썬 기초. Tuple과 Set

이번 포스트는 tuple 과 set 입니다. tuple 먼저 tuple 은 list에서 보안을 위해 수정이 불가능한 녀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생성 부터 간단하게 알아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tuple은 list와는 다른 ()을사용합니다. (*함수()와 혼용하시면 안됩니다) 거의 list와 비슷하게 사용 될 수 있으나 수정,삭제,추가가 안됩니다. 위 사진처럼 my_tuple[0] 의 값을 10으로 변경하려고 했더니 typeerror 가 뜹니다. 튜플은 수정이 될 수 없다 는 의미 입니다. my_tuple.append(100) 을 입력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attributeerror 가 뜹니다. 튜플은 append 속성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즉 추가가 불가능하다는 뜻 입니다. del 키워드도 마찬가지입니다 ..

개발/파이썬 2022.11.16

파이썬 기초. dictionary 생성,접근방법,추가,삭제

지난 포스트에서 list에 대해 공부 했습니다. 이번에는 dictionary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dict는 2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ey 와 value 로 이 둘이서 하나의 쌍을 이룹니다. 생성방법은 {} 대괄호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위 사진처럼 my_phone 이라는 dict형 변수는 brand -> apple model -> iphone x year -> 2018 로 앞부분이 key 뒷부분이 valu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key값을 접근하여 value값을 나타냅니다. 왼쪽은 엑세스, 오른쪽은 함수 get()을 이용한 방법 입니다. dict의 value 값을 바꾸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위 와 같이 my_phone dict가 있고 여기서 model 부분에 iphone x 를 바꿀..

개발/파이썬 2022.11.16